게오르기우스 아그리콜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게오르기우스 아그리콜라는 1494년 독일에서 태어난 광물학자, 야금학자, 지질학자로, '광물학의 아버지'로 불린다. 그는 라이프치히 대학교에서 공부하고, 의학을 배운 후 광산촌에서 시의(市醫)로 일하며 광산업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연구를 시작했다. 그의 대표작인 《데 레 메탈리카》는 광산 및 야금 기술에 대한 체계적인 정리와 과학기술 도입을 권유하여 광산업을 학문으로 발전시키는 데 기여했다. 아그리콜라는 1555년 사망했으며, 독일광물학회는 그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게오르크 아그리콜라 메달을 제정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독일의 광물학자 - 프리드리히 모스
프리드리히 모스는 독일의 광물학자이며, 광물의 물리적 특성을 기준으로 분류하는 방법을 개발하여 모스 굳기계의 기초를 마련했다. - 독일의 광물학자 - 프란츠 에른스트 노이만
프란츠 에른스트 노이만은 독일의 물리학자이자 결정학 연구의 선구자로서 쾨니히스베르크 대학교에서 광물학 및 물리학 교수를 역임하며 결정의 대칭성과 물리적 성질 간의 관계 연구, 화합물 비열에 대한 '노이만의 법칙' 제시, 전자기학 분야에서 자기 벡터 포텐셜 도입 및 유도 전류 법칙의 수학적 해석에 기여했고, 카를 구스타프 야코비와 함께 수학-물리학 세미나를 설립하여 후학 양성에도 힘썼다. - 금속공학자 - 혼다 고타로
혼다 고타로는 KS강과 신KS강 개발로 일본 산업 발전에 기여한 물리학자이자 재료과학자로, 도쿄대와 도호쿠대 교수 및 도호쿠대 총장을 역임했으며 혼다식 열저울 발명, 노벨 물리학상 후보 지명, 문화훈장 수훈, 일본 10대 발명가 선정 등의 업적을 남겼다. - 금속공학자 - 헨리 베서머
헨리 베서머는 영국의 발명가로, 용융된 선철에 공기를 불어넣어 불순물을 제거하는 베세머 제강법을 개발하여 강철 대량 생산 시대를 열었다. - 독일의 문헌학자 - 프리드리히 니체
프리드리히 니체는 "신은 죽었다"라는 선언으로 알려진 19세기 독일 철학자이자, 도덕, 종교, 형이상학 비판, '힘에의 의지', '위버멘쉬', '영원회귀' 등의 개념 제시로 서양 철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독일의 문헌학자 - 야코프 그림
야코프 그림은 그림 동화 편찬, 독일어 사전 편찬 참여, 그림의 법칙 정립 등 언어학과 문헌학에 큰 업적을 남긴 독일의 학자이자, 법학자, 민속학자, 자유주의 운동가였다.
게오르기우스 아그리콜라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게오르크 바우어 |
출생일 | 1494년 3월 24일 |
출생지 | 글라우하우, 작센 선제후국, 신성 로마 제국 |
사망일 | 1555년 11월 21일 |
사망지 | 켐니츠, 작센 선제후국, 신성 로마 제국 |
국적 | 독일 |
분야 | 광물학 |
학력 | |
출신 대학 | 라이프치히 대학교 |
업적 | |
영향 | |
수상 | |
기타 |
2. 생애
남독일의 글라우하우에서 태어났다. 1517년 라이프치히 대학을 졸업한 후, 한때 츠비카우의 라틴어 학교에서 언어학의 교사로 있었다. 그는 인문 학자로서도 알려져 있지만, 후에 의학을 배운 뒤, 은광산촌으로 유명한 요아힘슈탈의 시의 (市醫) 가 되었다. 후에 그는 다른 광산촌 켐니츠로 옮겨가, 몇 번이나 시장에도 뽑힌 바 있다.
당시 광산업을 천한 업으로 보는 풍조가 있었으나, 그는 오히려 광산업의 중요성을 인정, 적극적으로 관찰을 계속하였다. 그리하여 드디어 유명한 《데 레 메탈리카》를 저술하였다 (1556년 간행). 그는 풍부한 삽화까지 넣은 이 책으로 독일 광산에 대한 탐광·채광·광석의 운반·갱내 환기·배수의 펌프 장치·야금 기술·광부의 조직·급료·건강 관리에 이르기까지를 조사·기술 (記術) 하고, 광산에 과학기술을 도입할 것을 권유하고, 광산업을 하나의 학문으로 만들어 놓았다. 그가 '광물학의 아버지'로 숭앙되는 것은 이 때문이다. 만년에는 종교 문제가 계기가 되어 62세에 사망하였다.
1494년 3월 24일, 독일 작센주 글라우하우(Glauchau)에서 태어났지만, 유년 시절에 대해서는 자세히 알려져 있지 않다. 츠비카우의 라틴어학교에서 수학한 후, 20세에 라이프치히 대학교에 입학하여 그리스어를 공부했다.
1518년, 츠비카우에서 그리스어 교사가 되었지만, 후에 라이프치히 대학교 강사가 되었다.
아그리콜라가 30세 때 이탈리아로 유학을 가서 파도바 대학교, 베네치아, 볼로냐 대학교에서 의학, 화학, 언어학을 공부했다. 또한, 베네치아에서 인쇄술의 아버지라 불리는 알두스 마누티우스를 알게 되었다. 인쇄 기술을 배우기 위해 밀라노에 있는 유리 공장에도 방문했다.
1527년부터 1531년까지 이탈리아에서 귀국 도중, 보헤미아 요아힘스타알(Jáchymov)의 의사가 되어 요아힘스타알에서 광산학을 연구했다. 1530년에 광산학에 관한 『베르마누스』를 저술했다.
1531년부터 1535년경까지 켐니츠로 이주하여 연구를 계속했다. 1533년부터 아그리콜라의 대표작인 『데 레 메탈리카』를 저술하기 시작했다. 1546년에는 켐니츠 시장에 임명되었다.
그러나, 1555년 11월 21일, 독일 농민 전쟁과 종교 개혁의 영향 속에서, 기독교도들과의 논쟁 중에 뇌졸중으로 쓰러져 사망했다고 전해진다.
2. 1. 초기 생애와 교육
게오르기우스 아그리콜라는 1494년 3월 24일 남독일 글라우하우에서 옷감 제조업자이자 염색업자의 아들로 태어났다.[5] 본명은 게오르크 파우어(Georg Pawer)이다. 12살에 켐니츠(Chemnitz) 또는 츠비카우(Zwickau)의 라틴어 학교에 입학하여 공부하였다.[5]1514년부터 1518년까지 라이프치히 대학교(Leipzig University)에서 신학, 철학, 고전 문헌학을 공부했다.[6][7] 니콜라우스 아펠(Nikolaus Apel) 총장 아래에서 공부하였고, 특히 페트루스 모젤라누스(Petrus Mosellanus)에게서 그리스어와 라틴어(Latin)를 배웠다.[6][7] 모젤라누스는 에라스무스의 추종자였다.[6]
1519년, 24세의 나이에 츠비카우 그리스어 학교의 초대 교장(Rector extraordinarius)으로 임명되었다.[8] 이 학교는 곧 (츠비카우 대학교)(Westsächsische Hochschule Zwickau - University of Applied Sciences Zwickau)와 통합되었다.[8] 1520년에는 교사들을 위한 라틴어 문법 교재를 출판했다.[6]
1522년, 페터 모젤라누스의 지원을 받아 라이프치히로 돌아와 의학, 물리학, 화학을 공부했다.[6] 1523년에는 이탈리아로 가서 볼로냐 대학교와 파도바 대학교[5]에서 의학 공부를 계속했다. 1527년부터 1531년까지 이탈리아에서 귀국 도중, 보헤미아 요아힘스타알(Jáchymov)의 의사가 되어 광산학을 연구했다.
2. 2. 이탈리아 유학과 베네치아 시기
게오르기우스 아그리콜라는 1523년 이탈리아로 유학을 떠나 볼로냐 대학교와 파도바 대학교[5]에서 의학을 공부했다.[7] 1524년에는 알두스 마누티우스가 설립한 베네치아의 명문 인쇄소인 알딘 출판사에 합류하여 고전 작품 편집에 참여했다.[7] 알두스 마누티우스는 유럽 전역의 저명한 학자들과 광범위한 인맥과 우정을 쌓았으며, 그들을 베네치아로 초청하여 고전 출판물 편집을 담당하도록 장려했다. 아그리콜라는 이 시기에 유럽 학자들과 교류하며 인문주의적 학풍을 발전시켰다.2. 3. 의사 및 광산 연구
1527년 독일로 돌아와 안나 마이너와 결혼 후, 요아힘스타알(보헤미아)에서 시의(市醫) 겸 약사로 일하며 광산 연구를 시작했다.[4] 1만 5천 명의 주민이 거주하는 요아힘스타알은 수백 개의 광산이 있는 광산 및 제련소의 활기차고 번영하는 중심지였고, 아그리콜라는 이곳에서 광산을 조사할 수 있었다. 그의 주된 직책은 그리 힘들지 않았고, 그는 남는 시간을 모두 연구에 쏟았다. 1528년부터 그는 광물학과 광업에 대해 쓰여진 것과 현지 재료 및 처리 방법에 대한 자신의 관찰을 비교하고 실험하는 데 몰두했다.[9] 그는 현지 조건, 암석 및 퇴적물, 광물 및 광석에 대한 논리적인 체계를 구성하고 일반적 및 특정 지역적 특징에 대한 다양한 용어를 설명했다. 그는 모든 자연적 측면에 대한 이러한 논의를 실제 광산, 방법 및 공정, 현지 채굴 변형, 광부들로부터 배운 차이점과 특이점에 대한 논문과 결합했다. 그는 처음으로 광석과 광물의 형성에 대한 질문을 다루고, 기본 메커니즘을 밝히고 자신의 결론을 체계적인 틀에 도입하려고 시도했다.1530년, 그는 이 모든 과정을 학술적인 대화 형식으로 제시한 ''Bermannus, sive de re metallica dialogus''(베르마누스, 또는 야금에 관한 대화)를 출판했다.[4] 이 저서는 실제 조사를 통해 얻은 지식을 정리하고 축소된 형태로 더 조사하려는 시도에 대해 에라스무스로부터 높은 찬사를 받았다.[10][11] 아그리콜라는 의사로서 광물과 인간 의학에 대한 영향 및 관계가 미래 연구의 주제가 되어야 한다고 제안했다.[4]
2. 4. 켐니츠 시장과 학문 활동
1531년, 켐니츠 시의로 초빙되어 켐니츠로 이주했다.[14] 1533년부터 작센 공작 게오르크의 의뢰를 받아 작센의 역사를 다룬 《Dominatores Saxonici a prima origine ad hanc aetatem》을 집필하기 시작했는데, 이 작업은 20년이 걸려 완성되었고 1555년에 프라이베르크에서 출판되었다.[15]같은 해, 1533년에 출판된 그의 저서 《De Mensuris et ponderibus》에서는 그리스와 로마의 측정 및 무게 체계를 설명했다. 당시 신성 로마 제국에는 통일된 치수, 측정 및 무게 단위가 없어 무역과 상업이 저해되었기 때문에, 이 저서를 통해 통일된 도량형 도입의 필요성을 주장했다.[16] 이 책은 아그리콜라가 인문주의 학자로서 명성을 쌓는 기반이 되었으며, 이를 통해 공적인 자리에 서게 되었고 정치적 직책을 맡게 되었다.[16]
1544년에는 《De ortu et causis subterraneorum》을 출판하여 기존 이론을 비판하고 현대 물리 지질학의 기초를 마련했다.[17] 이 책에서 바람과 물의 지질학적 영향, 지하수와 광화 유체의 기원과 분포, 지하 열의 기원, 광맥의 기원, 광물계의 주요 분류에 대해 논의했다.[17]
1546년에는 《De natura eorum quae effluunt e terra》, 《De Natura Fossilium》을 출판했다.[18][19][20] 《De natura eorum quae effluunt e terra》에서는 물의 성질, 영향, 맛, 냄새, 온도 등과 지하의 공기에 대해 다루었고, 아그리콜라는 지진과 화산의 원인으로 지하의 공기를 꼽았다.[18] 《De Natura Fossilium》은 광물, 광석, 금속, 보석, 토양 및 화성암의 발견과 발생에 대한 포괄적인 교과서이자 설명이다.[19][20]
1546년, 1547년, 1551년, 1553년에 켐니츠 시장을 역임했다.[21]
2. 5. 사망
게오르기우스 아그리콜라는 1555년 11월 21일에 사망했다.[21] 그의 친구인 게오르크 파브리치우스(Georg Fabricius)는 필립 멜랑히톤(Phillip Melanchthon)에게 보낸 편지에서 아그리콜라가 나흘 동안의 열병으로 세상을 떠났다고 적었다.[21] 그는 가톨릭 신자였는데, 파브리치우스는 아그리콜라가 "우리 교회들을 경멸했고" "누군가가 그와 교회 문제에 대해 논의하는 것을 참을 수 없어했다"고 언급했다.[21]전직 시장은 지역 중심 교회에 매장될 자격이 있었으나, 켐니츠의 프로테스탄트 감독 테텔바흐(Tettelbach)는 아우구스투스 왕자에게 도시 내 매장을 거부하라는 명령을 내릴 것을 촉구했고, 명령이 내려졌다.[22][23]
그의 친구인 나움부르크(Naumburg) 주교 율리우스 폰 플루크(Julius von Pflug)의 주도로 아그리콜라의 시신은 차이츠(Zeitz)로 옮겨져 차이츠 대성당에 매장되었다.[24] 그의 아내는 기념판을 제작하여 대성당 안에 설치했으나, 17세기에 제거되었다. 기념판의 내용은 차이츠 연대기에 보존되어 있다.[25]

3. 《데 레 메탈리카》(De re metallica)
《데 레 메탈리카(De re metallica)》는 게오르기우스 아그리콜라의 대표작으로 1556년(사후 1년)에 출판되었다. 이 책은 광산 탐사, 채광, 광석 운반, 갱내 환기, 배수, 야금 기술, 광부 조직, 급여, 건강 관리 등 광산 및 야금과 관련된 모든 분야를 체계적으로 다룬다.
thumb
이 책은 지하에서 광석을 채굴하고 광석에서 금속을 추출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체계적이고 그림이 풍부한 논문이다. 당시까지는 플리니우스(Historia Naturalis)의 저서 ''Historia Naturalis''가 금속과 광산 기술에 대한 주요 정보원이었다. 아그리콜라는 플리니우스와 테오프라스토스와 같은 고대 저술가들에게 빚지고 있음을 인정하고 로마의 저술들을 여러 번 언급했다. 그는 광맥 탐사와 측량을 상세히 설명했고, 금과 주석과 같은 무거운 귀금속을 채취하기 위해 광석을 세척하는 방법도 설명했다.
이 저서는 광부와 자재를 광산갱도 안팎으로 운반하는 기계와 같이 광산에서 사용되는 수차를 보여준다. 수차는 특히 금과 다른 중금속의 미세 입자를 분리하기 위해 광석을 분쇄하는 데 사용되었고, 지하 작업장의 밀폐된 공간에 공기를 강제로 불어넣는 거대한 풀무를 작동하는 데에도 사용되었다. 아그리콜라는 현재는 쓸모없어진 채굴 방법, 예를 들어 단단한 암석면에 불을 지피는 화약법을 설명했다.
이 저서에는 부록으로 라틴어 본문에 사용된 전문 용어의 독일어 대응어가 포함되어 있다. 이 저서에서 유래된 현대 용어에는 형석(나중에 플루오린이라는 이름이 붙음)과 비스무트가 있다.
1912년, ''Mining Magazine''(런던)은 ''De re metallica''의 영어 번역본을 출판했다. 이 번역은 미국의 광산 기술자인 허버트 후버(Herbert Hoover)와 그의 아내 루 헨리 후버(Lou Henry Hoover)가 맡았다. 후버는 나중에 미국 대통령이 되었다.
총 12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권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제1권: 학문
- 제2권: 광산기술자의 수칙과 채광
- 제3권: 광맥, 균열, 층
- 제4권: 측량 방법과 광산기술자
- 제5권: 측량
- 제6권: 채굴 도구와 기계
- 제7권: 광석
- 제8권: 광석의 분쇄 및 배소 방법
- 제9권: 광석의 용융 방법
- 제10권: 귀금속과 비금속을 분리하는 방법
- 제11권: 금, 은, 구리, 철을 분리하는 방법
- 제12권: 소금, 명반, 황과 유리의 제조법
일본에서는 미에다 히로네(三枝博音)의 번역본이 간행되었다.[27]
3. 1. 내용 구성
총 12권으로 구성된 이 책은 게오르기우스 아그리콜라(Georgius Agricola)가 1533년부터 1550년까지 요아힘스타르(Joachimsthal)에서 저술한 것으로, 일본어로는 『금속에 관하여』로 번역되었다. 초판은 아그리콜라 사후 4개월 만에 바젤(Basel)에서 출판되었다.제1권은 학문을, 제2권은 광산기술자의 수칙과 채광을, 제3권은 광맥, 균열, 층에 대해, 제4권은 측량 방법과 광산기술자에 대해, 제5권 역시 측량에 관한 내용을, 제6권은 채굴 도구와 기계에 대해, 제7권은 광석에 대해, 제8권은 광석의 분쇄 및 배소 방법, 제9권은 광석의 용융 방법, 제10권은 귀금속과 비금속을 분리하는 방법에 대해, 제11권은 금, 은, 구리, 철을 분리하는 방법을, 그리고 제12권은 소금, 명반, 황과 유리의 제조법에 관한 내용을 다루고 있다.
일본에서는 미에다 히로네(三枝博音)의 번역본이 간행되었다.[27]
4. 평가
게오르기우스 아그리콜라는 광물학, 야금학, 지질학 분야의 선구자로, '광물학의 아버지'로 불린다. 그는 관찰과 실험을 통해 얻은 지식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광물학을 학문의 반열에 올려놓았다. 그의 저서 《데 레 메탈리카》는 16세기 광산 및 야금 기술의 집대성이자, 근대 과학 방법론의 초기 사례로 평가받는다.
당시 광산업을 천한 업으로 보는 풍조가 있었으나, 그는 오히려 광산업의 중요성을 인정하고 적극적으로 관찰을 계속하였다. 《데 레 메탈리카》에서 그는 독일 광산에 대한 탐광, 채광, 광석 운반, 갱내 환기, 배수 펌프 장치, 야금 기술, 광부 조직, 급료, 건강 관리에 이르기까지 조사하고 기술하여 광산에 과학기술을 도입할 것을 권유하고, 광산업을 하나의 학문으로 만들었다.
5. 기타
독일광물학회(Deutsche Mineralogische Gesellschaft; 약칭: DMG)는 비철금속 분야의 야금학, 광산학 분야의 업적에 수여하는 '''게오르크 아그리콜라 메달'''(Georg-Agricola-Medaille)을 제정했다.
5. 1. 게오르크 아그리콜라 메달
독일광물학회(Deutsche Mineralogische Gesellschaft, DMG)는 비철금속 분야의 야금학, 광산학 분야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게오르크 아그리콜라 메달'(Georg-Agricola-Medaille)을 제정했다.5. 2. 어원
게오르기우스 아그리콜라는 게오르크 파우어(Georg Pawer)라는 이름으로 태어났다.[2] Pawer는 현대 독일어 Bauer의 옛 형태로, 영어로는 farmer(농부)로 번역된다.[4] 그의 스승인 페트루스 모젤라누스는 당시 르네상스 학자들 사이에서 유행하던 이름 라틴어화 관행을 따르도록 설득했고, 이에 따라 게오르크 파우어는 게오르기우스 아그리콜라(Georgius Agricola)로 개명했다. Georg/Georgius라는 이름은 그리스어에서 유래했으며, "농부"를 의미하기도 한다.참조
[1]
논문
Rediscovery of the Elements: Agricola
https://chemistry.un[...]
Alpha Chi Sigma
2024-01-07
[2]
웹사이트
Georgius Agricola
https://ucmp.berkele[...]
University of California - Museum of Paleontology
2019-04-04
[3]
서적
Geological Sciences; Geology: Landforms, Minerals, and Rocks
Britannica Educational Publishing
2012
[4]
웹사이트
Georgius Agricola (1494 - 1555)
https://www.georgius[...]
Agricola-Forschungszentrum Chemnitz
2019-04-04
[5]
웹사이트
Agricola, Georgius (Georg Bauer), wahrscheinlich in Zwickau
https://www.deutsche[...]
Deutsche Biographie
2019-04-05
[6]
웹사이트
Dr. Georg Agricola : ein Gelehrtenleben aus dem Zeitalter der Reformation - p. 9
https://archive.org/[...]
Archive org
2019-04-05
[7]
웹사이트
Neue deutsche Biographie, Bd.: 1, Agricola, Georgius
http://daten.digital[...]
Münchener Digitalisierungszentrum
2019-04-04
[8]
웹사이트
Geschichte der Westsächsischen Hochschule Zwickau - Georgius Agricola lehrte von 1519 - 1522 in Zwickau
https://www.fh-zwick[...]
Westsächsische Hochschule Zwickau
2019-04-04
[9]
웹사이트
Denkmal Georgius Agricola
https://www.glauchau[...]
Glauchau de
2019-04-05
[10]
웹사이트
The Pirotechnica of Vannoccio Biringuccio - Translated from the Italian with an introduction and notes by Cyril Stanley Smith and Martha Teach Gnudi, p. 45
https://www.tms.org/[...]
The American Institute of Mining and Metallurgical Engineers
2019-04-04
[11]
뉴스
Der Mann, der aufschrieb, wie das Silber aus dem Berg kommt
https://www.zeit.de/[...]
DIE ZEIT Archiv
2019-04-05
[12]
웹사이트
Alchemical Imagery - illustrated title Agricola
https://alchemywebsi[...]
2023-12-24
[13]
논문
"Rusticall chymistry": Alchemy, saltpeter projects, and experimental fertilizers in seventeenth-century English agriculture
2022-12-01
[14]
서적
De re metallica, translated from the first Latin edition of 1556
Dover Publications
1950
[15]
서적
Healers and Achievers: Physicians Who Excelled in Other Fields and the Times in Which They Lived
https://books.google[...]
Xlibris Corporation
2012-05-31
[16]
서적
Georgius Agricola, 500 Jahre: Wissenschaftliche Konferenz vom 25. – 27. März 1994 in Chemnitz, Freistaat Sachsen
https://books.google[...]
Springer-Verlag
2013-03-09
[17]
서적
Principles of Geology: Being an Attempt to Explain the Former Changes of the Earth's Surface, by Reference to Causes Now in Operation
https://archive.org/[...]
J. Murray
[18]
웹사이트
DIE EISENBIBLIOTHEK UND IHRE AGRICOLA-BESTÄNDE
https://web.archive.[...]
archives
2019-04-12
[19]
서적
The History of Chemistry (Complete)
https://books.google[...]
Library of Alexandria
[20]
서적
D Natura Fossilium (Textbook of Mineralogy)
https://books.google[...]
Courier Corporation
[21]
웹사이트
De Re Metallica – Agricola, Hoover, pp. xi-xii, xvi, xxi-xxiv
https://web.archive.[...]
Farlang
2019-04-05
[22]
서적
Georgius Agricola
https://books.google[...]
Springer-Verlag
2013-08-13
[23]
서적
Die Reformation ihre innere Entwicklung und ihre Wirkungen im Umfange deLuterischen Bekenntnisses von J. Döllinger
https://archive.org/[...]
J. Manz
[24]
문서
Five-minute guide to the Cathedral of Sts Peter and Paul
https://www.kath-zei[...]
2023-02-28
[25]
웹사이트
Zum 450. Todestag von GEORGIUS AGRICOLA
https://www-user.tu-[...]
TU Chemnitz
2019-04-05
[26]
서적
化学大辞典
共立
1981-10-01
[27]
웹사이트
ゲオルグ・アグリコラ|三枝博音訳・解説|デ・レ・メタリカ[序・第1巻・解説]|1556年|ARCHIVE
http://www.project-a[...]
2024-04-06
[28]
서적
물질문명과 자본주의Ⅰ-2 일상생활의 구조 下
까치
199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